
지난번 코로나 시기에 비해 증가했고, 모터쇼가 활성화 되던 시기에 비해선 다소 줄어든 관람객 수지만 분명 희망은 있다는 업계의 평가다.
특히 올해 행사는 단순 구경이라는 평면적인 전시를 넘어 체험을 통한 연계도 관람객들의 발길을 끄는데 성공했다.
완성차 브랜드 7곳(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르노, BMW, 미니, 어울림모터스)이 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친환경, 전기차, 소프트웨어 기술 등이 집약된 미래형 자동차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클래식·슈퍼카, 브랜드별 신차시승, 오프로드 동승체험, 안전띠체험, 부산수제맥주페스티벌, 현대차 엔(N)브랜드 이벤트 등 풍성한 부대행사로 축제의 재미와 볼거리를 제공했다.
코리아캠핑카쇼, 오토매뉴팩, 부산로봇자동화산업전 등의 행사도 동시에 개최돼 모빌리티와 관련한 다양한 전시를 관람하고 교류하는 기회의 장도 제공됐다.
또한 모빌리티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콘퍼런스와 세미나도 개최됐다.
다만 이 모빌리티쇼가 주최측이 발표한 것처럼 모빌리티 시대의 비전을 제시했는지는 물음표다.
그나마 완성차 브랜드인 현대, 제네시스, 기아가 신차와 컨셉트카를 공개하고 전기차, 수소생태계 구축에 대한 발표를 했다는 점과 오랫동안 자동차 전시 체험 현장을 준비해온 만큼,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신차 전시와 부스 구성을 했다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기아는 정통 픽업트럭인 타스만, EV3, EV6, EV9 등의 전기차 라인업을 다양한 옵션 구성으로 전시해 구매 의향이 있는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았다.

르노코리아도 야심차게 준비한 신형 하이브리드 SUV ‘뉴 르노 그랑 콜레오스’를 공개하며 반응이 뜨거웠다. 긴 시간 공들인 ‘오로라’ 프로젝트의 첫 작품이 공개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시기 르노 공식 유튜브 영상에서 여성 진행자의 남성 혐오 손가락 동작이 담긴 모습이 문제가 되어 김이 빠지기도 했다. 영상콘텐츠 검수도 못하는 기업이 안전을 담보로 한 자동차 품질 검수는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BMW 그룹 코리아는 BMW 뉴 M4, iX2 스포츠액티비티쿠페 전기차 외에 미니와 BMW 바이크 브랜드인 모토라드 등 3개 브랜드의 18개 모델을 전시했다.
수제 슈퍼카 브랜드 어울림모터스는 12년 만에 스피라 후속작 ‘SC24’를 공개했다.
현대차 정의선 회장이 방문하기도 했던 배터리 기업 금양의 부스에도 비전을 확인하기 위한 B2B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이밖에 자동차 유튜버 ‘압구정시골쥐’ 부스는 올드카, 클래식카가 전시돼 가족단위의 관람객들의 눈길을 붙잡았다.
야외에 준비되었던 행사들은 개막일부터 장마가 시작되면서 대부분 취소됐다.

모터쇼가 전세계적으로 쇠퇴하고 온라인 디지털 홍보에 열을 올리는 완성차 브랜드들의 흐름이지만, 현장에서 직접 보고 체험하는 희열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자동차에 대한 관심의 깊이를 떠나 부산모빌리티쇼와 같은 행사는 정부, 관계부처, 기업에서 국가적인 행사로 애정과 관심을 갖고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이제 2026년 부산모빌리티쇼의 또 다른 도약을 기대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