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도 이제는 환경 친화적으로! ... 우리의 미래는 기획 탄소농업에 달렸다

김정희 기자 발행일 2021-12-24 18:53:07 댓글 0
토양은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 최근 환경 보호와 관련, 토양에 주목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토양이 거대 탄소 저장소인 것이다. 땅에서 자라는 식물 등이 광합성을 한 후에 남게 된 탄소를 비롯해 동물, 식물 등의 사체는 물론 분뇨가 분해돼 만들어진 탄소를 보관하는 것이다.

이에 최근 농경지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환경 보호에 힘쓰고 있다. 농경지 등이 반드시 활용되어야 하지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찾아내 환경 보호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 중 가장 주목 받는 방법은 탄소를 줄이는 방안으로 탄소를 토양에 저장시키는 농법이 눈길을 끌고 있다.

앞서 이미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토양 등이 최대한 많은 양의 탄소를 붙잡아두도록 하는 새로운 농업 기법을 사용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며 존재하는 탄소를 토양으로 격리하는 이 기법은 ‘토양 탄소 격리’라고 한다. 또 다른 의미로는 농경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탄소농업’이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을 할 수 있다. 과연 어떻게 탄소를 토양에 저장하는 것일까?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무경운농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농작물의 경우에는 광합성이 이루어지면 땅 속에 탄소를 저장하게 된다. 이 원리를 이용해 논밭을 갈아 엎을 경우에는 유기물이 빠른 속도로 분해되고, 탄소를 다시 배출하게 된다. 이에 탄소가 다시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경운을 하지 않는 농법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기법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상대적으로 탄소농업과 관련한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규모 농지 면적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탄소농업이 확장되는 추세다. 이에 우리나라 역시 추후, 탄소농법과 같은 기법 등이 도입되면 환경 보호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탄소농업에는 농작물의 잔재를 퇴비 등으로 활용, 이용하는 농법도 있어 눈길을 끈다. 토양에서 농작을 한 후 남은 잔재에도 탄소가 남아있다. 따라서 이 잔재를 퇴비로 활용하게 된다면 탄소를 토양에 흡수 시킬 수 있다. 이는 유기물 등을 에너지원으로 살아가는 미생물에 의해 땅 속에서 분해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농업은 최대한 생산량을 많이 늘리고, 이익을 얻는 것을 추구했다. 이에 밭을 갈아엎고, 화학 비료 등을 뿌리는 등의 효율적인 면을 추구하는 방법이 활용됐다. 하지만 이런 행위는 탄소중립, 환경 보호에는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없다.

밭을 자주 갈아엎게 될 경우에는 토양 속에 있는 유기물에 갇힌 탄소가 즉시 분해되고 배출된다. 여기서 질소 성분인 화학비료 역시 온실가스인 이산화질소를 발생시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하지만  농사를 짓는 데에 있어 환경 보호를 위해 강력한 법규 등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우리는 ‘탄소농업’에 주목해야 한다. 유럽 등은 가축 퇴비를 쓰는 유기농법 비중을 20% 이상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환경 오염에 악이 되는 이산화질소 발생을 최소화한다는 의미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휴경을 비롯한 밭을 갈지 않는 무경운(no-till) 농법을 도입, 전투적인 자세로 탄소농법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무작정 이런 기법 등을 도입할 수만은 없는 일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농사를 직접 짓고, 땅을 일구는 농부들이 지속 가능한 농법을 선택하도록 하는 경제적 유인이 될 것이다. 

이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측은 탄소농법을 채택한 농부에게 ‘탄소은행’과 같은 크레딧을 제공함으로써 탄소농업의 비중을 높이는 데 베네핏 등을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 농업 스타트업인 인디고애그리컬처와 FBN 측은 크레딧당 보상 액수를 정해놓고, 농민 등을 대상으로 탄소농업 도입을 독려하고 있다.

이밖에도 미국이 유럽 배출권 시장보다 더 앞서 탄소농업을 인정하고 앞장서고 있다.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역시 탄소농업 지원 관련 내용이 담긴 공동농업정책 등의 개정안을 발표하며 농가에 투입되는 소비를 합리적으로 만들어 전반적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즉, 자사의 탄소저감 농법 프로그램을 통해 토양 품질을 개선하고 농업인들이 탄소 배출권을 판매해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만드는 셈이다.

한편 한국의 탄소농업은 현재 어떤 수준일까? 앞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아직 탄소농업에 있어 걸음마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빠른 시일내에 탄소농업 방면이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농림춘산식품부 측이 지난 8월,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참여할 농가를 모집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움직임이 시작 된 것이다. 

한편, 아직 여러 방면으로 고려해야할 부분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농토 면적이 넓지 않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고려해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높여야만 할 것이다.


사진=언플래쉬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