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점검은 만경강 지류인 전주천의 수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하천정비사업 추진상황과 올해 만경·동진강 유역(금강 권역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국가하천은 전주천을 포함해 총 7개 존재) 의 홍수기(매년 6월 21일~9월 20일) 대응계획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체 길이가 31km인 전주천은 현재 일부 구간인 7km만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올해 10월부터 전주 도심을 관통하는 구간 약 15km까지 국가하천으로 승격 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홍수기 전·중·후에 집중 현장 점검을 실시하는 등 적극적인 홍수대응 대책을 펼치고 있다.
임상준 차관은 이날 현장에서 전주천 국가하천 정비사업과 만경·동진강 유역의 홍수기 대응계획을 점검한다. 임상준 차관은 전주시 도심을 흐르는 전주천이 올해 10월 국가하천으로 승격되는 만큼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전북지방환경청 등 관계기관에 협업을 강조하며 국민 안전을 철저하게 확보해 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다.
이날 점검하는 전주천 국가하천 정비사업 현장은 특히 홍수에 취약한 하천 합류 지점의 퇴적된 흙을 준설해 물 흐름을 개선하고 지난해 집중호우로 유실된 하천시설(금학보)을 복구하는 것으로 올해 마무리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올해 10월과 내년 1월에 전국 20개 지방하천 총 466.71km 구간을 국가하천으로 10개씩 단계적으로 승격시킬 계획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집중호우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천정비 등 구조적 대책은 물론이고, 홍수취약지구 관리, 홍수예보 등 비구조적 대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라며, “국가하천으로 승격될 지방하천은 관계 기관과 더욱 긴밀하게 협업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