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기(사진 ) 의원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평균 월 통신비는 2017년 4만6,261원을 마지막으로 이듬해

이에 대해 이훈기 의원은 “역대 많은 정권이 통신비를 인하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오름세를 막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백약이 무효라는 말을 실감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통신비 인하는 역대 정권마다 등장하는 단골 대선 공약이자 주요 정책과제였다. 이명박 정부는 “통신비 20% 절감”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걸었고 박근혜 정부는 “가입비 폐지, 데이터 중심 요금제 전환”을 문재인 정부는 “통신기본료 폐지”와 “선택약정할인율 인상”으로 통신비 인하를 유도했다.
윤석열 정부 역시 “5G 중저가 요금제 유도”를 정책과제로 삼았지만 오르기만하는 통신 부담 행진을 막거나 이를 획기적으로 줄이는데는 모두 실패했다.
이에 대해 이훈기 의원은 “일본의 경우 지난해 라쿠텐 모바일이라는 제4이동통신사업자가 3만원도 안 되는 가격으로 ‘속도저하 없는 무제한 5G’ 상품을 출시했다”며 “우리도 통신비 인하를 위해 제4이동통신을 적극 도입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라쿠텐 모바일은 지난해부터 2월부터 세금포함 3,168엔에 ‘속도저하 없는 5G’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환율 적용시 약 2만9500원에 불과하다. 이는 속도저하는 고사하고 ‘무제한 5G요금’으로만 최소 7만5천 원 이상을 지불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일본인들은 절반 이하 가격으로 5G 상품을 쓰고 있는 셈이다.
이 의원은 “라쿠텐 모바일이 저렴한 가격을 내놓을 수 있었던 이유는 후발주자로서 저렴한 상품을 적극 개발한 것”이라며 “현재 일본은 이제 기존 통신사들이 여기에 자극받아 일제히 요금을 내리고 있는 추세로 우리도 제4이동 통신을 적극 도입해야한다”고 말했다.
제4이동통신은 기존의 통신 3사(KT.SKT.LGU+)외에 별도의 통신 사업자를 허가하자는 것으로 우리나라도 그동안 여덟 차례나 사업자를 공모하고 추진했다 하지만 그때마다 사업자의 자본금 부족 등 현실상의 이유로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
이에대해 이 의원은 “지금까지의 사업자 공모 방식을 보면 사실상 정부부터 공모를 하겠다는 의지가 보이지 않는 것들이었다”라며 “국민들의 통신비 절감을 위해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공모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