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의원은 “주민들은 수십 년째 군 소음 피해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국가의 보상체계는 여전히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소음등고선 기준으로 보상구역을 나누다 보니 같은 마을, 같은 단지에서도 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한쪽은 보상받고 다른 한쪽은 제외되는 불합리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같은 기준은 주민 갈등을 키우고 피해구제의 실효성을 떨어뜨린다”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군용기 소음은 불편을 넘어 수면장애, 청력손상, 학습저하 등 심각한 건강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군용기 소음에 장기간 노출된 주민은 심장질환과 청력질환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1.6배 높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하지만 현행 군 소음 보상기준은 여전히 민항기보다 높은 소음 강도와 불규칙한 주파수를 가진 군용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전 의원은 “민항기는 75웨클부터 보상이 이뤄지지만, 군용기는 80웨클부터 보상이 시작된다”며 “보상금도 수년째 동결되어 물가상승률이나 생활비 변동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전 의원은 “보상구역을 마을이나 도로 등 명확한 지형 단위로 재설정하고, 도심 지역의 경우 최소 80웨클 이상으로 보상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며 “보상금 역시 물가상승률과 생활비 변동을 반영해 현실화해야 한다”고 개선안을 제시했다.
또한 전 의원은 10년 넘게 미해결 상태인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집중 질의하며 “TF가 구성된 지 5개월이 지났지만 공식 회의조차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며 정부의 소극적 태도를 질타했다.
그는 “광주 군공항 이전은 광주시민의 오랜 염원”이라며 “이전 대상지역 지원방안, 재정 분담, 단계별 추진일정 등을 포함한 구체적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전 의원은 “이전이 확정된 부지에 169억 원의 예산을 들여 군시설물을 신축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며 “국가가 책임지겠다는 약속이 말뿐이 아니라 예산과 실행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 의원은 광주 동구의 주요 지역 현안인 ‘AI 헬스케어 실증 콤플렉스 센터’ 건립 사업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지 않은 점도 지적하며, “원도심 활성화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벨리 조성을 위한 핵심사업인 만큼, 정부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