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밤 하늘을 수놓는 불꽃놀이는 우리들의 눈을 즐겁게 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즐거울 수 없는 존재다.
발사 장치에 중금속이 들어간 화학을 채운 뒤 화약에 불을 붙여 공중으로 발사하는 방식의 불꽃놀이는 불꽃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이산화질소, 산화질소 등 상당한 양의 유해 물질이 발생된다. 이는 공기 오염의 주범이다.
공기 오염뿐 아니라 소음 역시 큰 문제다. 매년 여름이 되면 해수욕장 주변의 주민들은 폭죽의 소음과 냄새로 인해 피해를 입고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공기 오염과 소음을 넘어 불꽃놀이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바로 불꽃놀이 후 남겨진 탄피 쓰레기다. 불꽃이 발사될 때 화약을 담고 있던 작은 플라스틱 탄피가 찢겨 해변에 떨어지는데 이는 해변 환경에 매우 치명적이다.
해변에 떨어진 탄피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을 배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비나 바람에 쓸려 해양으로 유입된 탄피는 바다 위를 떠다니며 부식되고 이 과정에서 역시 수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배출한다.
최근 해양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는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하나의 과제다. 해양으로 유입된 탄피와 같은 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을 배출시키고 이를 해양 생물들이 먹잇감으로 착각해 이를 먹고 사망에 이르는 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실제 매년 해변에서 발생하는 탄피 쓰레기의 양은 늘고 있다. 해양환경공단이 내놓은 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해변에서 100m당 2.4개의 탄피가 발견됐는데, 2021년에는 5.6개로 4년 사이 그 양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사실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르면 관리청의 허가 없이 백사장에서 폭죽을 터뜨리는 행위는 불법으로 이를 위반할 경우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있는 현재 각 지자체는 해변에서의 불꽃놀이가 명백히 불법 행위 임을 널리 알려야 한다. 이와 함께 불꽃놀이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홍보 역시 필요한 부분이다. 우리의 작은 즐거움이 결과적으로 해양 생태계 전반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사진=언스플래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