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오세희 의원(더불어민주당, 전국소상공인위원장)은 20일, 광해광업공단 등 자원공기업 국정감사에서 "공단의 핵심 책무인 광해방지사업을 사실상 방기해 오고 있다"며, "광해방지 기본계획은 20년째 목표 달성에 실패했고,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폐금속광산 복구율은 20% 수준에 머물러 국민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고 밝혔다.
「광산피해방지법」에 따른 광해방지사업은 국가의 법정 책무이다. 그러나 공단이 올해 확보한 총수입 4조 1,589억 원 중 광해방지사업 투입 예산은 880억 원(2%)에 그쳤다. 공단은 2007년 이후 4차례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나, 평균 달성률은 60%대에 머물렀고, 최근 3차 계획(17~21)은 58.8%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환경부가 통보한 폐금속광산 복구율은 19.9%로, 산업부(88.6%) 및 농식품부(82.5%) 대비 현저히 낮아 부처 간 관리 격차가 뚜렷했다. 유해 중금속 오염과 직결된 폐금속광산이 부처 간 책임 공방 속에서 사각지대에 놓였음을 보여준다.
공단의 광해 조사 신뢰성 문제도 심각했다. 공단은 2021년 경북 예천 황금산 광산을 "오염 없음"으로 발표했으나, 국립환경과학원 조사 결과 중금속 오염 및 심각한 건강 이상이 확인됐다.
해당 지역 주민 103명 중 42명(40.8%)이 신장 기능 이상을 보였으며, 카드뮴 초과자의 골밀도 감소율은 정상인의 7배(42.9%)에 달했다. 환경단체와 강원도 주민들은 "부실한 조사와 책임 떠넘기기로 주민 피해가 심화된다"고 비판했다.
오세희 의원은 “광해방지사업의 20년째 목표 미달성은 국가가 공단에 위임한 책무를 방기한 것”이라면, “국민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세우기 위해, 폐금속광산 복구 예산의 우선 배정, 강원랜드 배당금의 광해방지사업 의무 투입, 그리고 산업부-환경부-농식품부 간 실질적 협업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 의원은 “광해방지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 직결된 만큼,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생존 전략이라는 인식을 세워야 한다”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