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환경
  • 삼성생명
    • HOME
    • 데일리지구
      • 생태·환경
      • 대기·기후
      • 지구온난화
      • 위기의지구
    • 데일리이슈
      • 사회이슈
      • 경제이슈
      • 정책이슈
      • 국내이슈
      • 국제이슈
    • 데일리기획
    • Daily +
      • 건강·생활
      • 친환경가이드
    • ESG
      • 지속가능경영
      • SRI사회적책임투자
    • Gallery
    • PHOTO
    • 지면보기
  • 데일리지구
    • 생태·환경
    • 대기·기후
    • 지구온난화
    • 위기의지구
  • 데일리이슈
    • 사회이슈
    • 경제이슈
    • 정책이슈
    • 국내이슈
    • 국제이슈
  • 데일리기획
  • Daily +
    • 건강·생활
    • 친환경가이드
  • ESG
    • 지속가능경영
    • SRI사회적책임투자
  • Gallery
  • PHOTO
0000년 00월 00일 모바일버전 전체기사

이정윤

기자가 쓴 기사
  • 국립환경과학원-에스케이하이닉스...탄소중립 이행 환경연구협력

    국립환경과학원-에스케이하이닉스...탄소중립 이행 환경연구협력

    정책이슈
    2025-05-22 06:47:08 이정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에스케이(SK)하이닉스(대표이사 곽노정)와 5월 22일 에스케이하이닉스 본사(경기도 이천시 소재)에서 탄소중립 이행 관련 환경연구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은 탄소중립 이행 환경연구 수행에 필요한 인적 자원 교류와 정보 공유를 포함한 민관 협력체계 강화를 바탕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22년부터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보고·검증 결과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상호인정협정( 국제적으로 교역되는 제품 등에 대한 국가별 시험‧검사‧인증 및 온실가스 검증 등의 결과가동등하다고 상호 간에 수용하는 제도  ) 체계를 운영 중이다.  아울러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저감 효율을 실측할 수 있는 온실가스공정시험기준(ES 13501)을 2023년에 개발하여 기업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바 있다. 한편, 에스케이하이닉스는 1983년부터 메모리 및 시스템반도체 사업을 시작해 국내외에 생산·판매·연구시설을 보유 중이며,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본사를 거점으로 4개의 생산기지와 3개의 연구개발법인을 비롯해 미국, 중국 등에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이다.  국립환경과학원과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탄소배출량 감축 규제가 강한 국가에서 덜한 국가로 탄소가 유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럽연합의 무역관세 중 하나) 등 국제적인 탄소 배출 규제에 공동 대응할 수 있도록, △전 과정 평가를 기반으로 한 반도체 제품의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관련 연구, △전자업종에서 사용하는 온실가스 처리장치의 처리 효율 관련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협약은 민관이 함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 전문성과 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산업계가 직면한 국제 규제, 특히 탄소 무역장벽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온실가스 분야 전문가 간 교류도 더욱 활발히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강북구, 개인정보 유출 막고 환경오염도 줄인다...연 2회 물리적 파기

    강북구, 개인정보 유출 막고 환경오염도 줄인다...연 2회 물리적 파기

    사회이슈
    2025-05-22 06:43:18 이정윤
     강북구(구청장 이순희)는 주민들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디지털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디지털 저장매체 파기 서비스’를 시행한다. 디지털 저장매체 파기 서비스는 강북구민과 관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며, 무료로 제공된다. 파기 대상은 HDD, SSD, USB, CD, 메모리카드 등 개인정보 저장이 가능한 각종 디지털 저장장치다.  이용을 희망하는 구민은 강북구청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작성·접수한 뒤, 신분증을 지참해 구청 디지털정보과에 설치된 파기 수거함에 저장매체를 제출하면 된다.  수거된 저장매체는 연2회(6월·12월) 전문업체를 통해 물리적으로 완전 파기되며, 요청 시 이메일 또는 문자로 파쇄증명서도 받을 수 있다.아울러 구는 이용 대장을 개인정보보호 포털에 등록해 투명하게 관리할 방침이다. 서비스 관련 문의는 디지털정보과로 하면 된다.디지털정보과 박진숙과장은 “디지털 기기 폐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덜기 위해 이번 서비스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주민들이 안심하고 디지털 기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 강북구, 생활폐기물 반입량 7.3% 감축… 정책 효과 가시화

    강북구, 생활폐기물 반입량 7.3% 감축… 정책 효과 가시화

    정책이슈
    2025-05-22 06:40:19 이정윤
    강북구(구청장 이순희)는 2025년 1분기 생활폐기물 감량 실적을 분석한 결과, 소각·매립량이 전년 동기 대비 7.3% 줄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일평균 5.2톤, 총 532톤이 감소한 수치로, 수도권 매립지 직매립 금지에 대응하기 위한 구 차원의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는 올해 생활폐기물 반입 할당량 24,578톤 중 1분기 목표치인 6,145톤보다 적은 6,012톤을 반입했다. 분기 반입률은 24.5%로, 목표인 25% 이내를 안정적으로 달성한 셈이다. 특히 1분기 매립 반입량은 ‘0톤’을 기록하며, 실질적인 직매립 금지 정책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이번 감량 성과는 주민 대상 분리배출 홍보 강화, 주요 배출사업장 점검 확대, 자체처리 유도 등의 정책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결과로 평가된다. 구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하반기에도 생활폐기물 감량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이어갈 계획이다.  6월 중에는 폐비닐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보상제 시범사업’을 도입해 재활용 참여를 유도하고, SNS·유튜브·구청 홈페이지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감량 캠페인도 본격 추진한다. 이와 함께 사업장 폐기물 배출자 미신고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와 의료기관 등 자체처리 가능 업소에 대한 행정지도도 병행할 예정이다.청소행정과 명노준과장은 “2026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수도권 매립지 직매립 금지에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연초부터 생활폐기물 감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분리배출 실천에 주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 한강청, 녹조 대비 야적퇴비 특별점검...“팔당호에 흘러드는 퇴비 막는다”

    한강청, 녹조 대비 야적퇴비 특별점검...“팔당호에 흘러드는 퇴비 막는다”

    사회이슈
    2025-05-21 20:25:58 이정윤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은 6월까지 여름철 팔당 상수원 수질 개선 및 녹조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하천변 야적퇴비 특별점검을 한다.한강청은 올해 3월부터 팔당댐 유입 지류·지천 84개의 하천을 대상으로 총 156개소의 야적퇴비가 부적정하게 방치된 것을 발견하고, 수거 및 덮개 설치 등 계도 조치를 하였다. ▲박창진 한강유역환경청 수생태관리과장(오른쪽)이 5월 21일,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에 위치한 야적퇴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한강유역환경청이 5월 21일 야적퇴비 현황조사에서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가정리 소재 농가의 야적퇴비가 적정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점검은 지난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야적퇴비가 많이 발견된 경안천 부근을 대상으로 지자체와 합동으로 진행할 방침이다. 영농농가가 하천‧제방 등 공유지에 퇴비를 쌓아놓는 것은 수질오염의 우려가 있어 퇴비 소유주가 모두 수거해야 한다. 사유지에 보관하는 경우도 덮개를 덮어 침출수가 흘러가지 않게 보관해야 한다. 한강청은 합동 점검에서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50조 : 조치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음을 알릴 계획이다. 아울러, 퇴비 관리를 위해 비닐 덮개를 제공하는 한편, 강우시 퇴비에 포함된 질소·인 등의 침출수가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적정한 관리방법도 현장에서 안내할 예정이다.   .
  •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  수입 ‘과·채가공품’ 회수 조치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 수입 ‘과·채가공품’ 회수 조치

    사회이슈
    2025-05-21 20:19:51 이정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수입식품등 수입판매업체인 ‘주식회사 희망상사(경기도 안성시)’가 수입해 판매한 중국산 ‘냉동 블루베리(식품유형: 과·채가공품)’에서 잔류농약인 프로사이미돈(오이, 딸기, 복숭아 등 농산물에 사용 허가된 살균제)이 기준치(0.01 mg/kg 이하) 보다 초과 검출되어 해당 제품을 판매 중단하고 회수 조치한다고 밝혔다. 회수 대상은 소비기한이 ‘2027. 2. 28.’로 표시된 제품이다. ▲회수제품내역 ▲ 제품내역 식약처 관계자는 '해당 제품을 신속히 회수하도록 조치하였으며,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섭취를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 [포토]  해양환경공단, 군산 및 대산지사 현장 안전점검 실시

    [포토] 해양환경공단, 군산 및 대산지사 현장 안전점검 실시

    사회이슈
    2025-05-21 19:58:23 이정윤
    해양환경공단(이사장 강용석)은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공단 군산지사와 대산지사에서 현장 안전점검과 소속 직원 대상 소통간담회를 실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김원성 안전경영본부장이 주재했으며 선박, 방제대응센터 등 현장을 시찰하고 방제기자재 비치 상태 및 노후화 정도, 아차사고 발생 요인 등 안전 관리 현황과 위험요인을 점검했다. 특히 군산사업소 현대화사업 현장에서 공사장 위험요소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했다.또한 지사 직원을 대상으로 소통간담회를 실시해 근무환경, 사업추진 시 애로사항 등을 경청하고 해결방안을 나누는 소통의 시간도 가졌다. 김원성 본부장은 “단 한 건의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경영진에서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작은 소리도 적극 경청하겠다”며 “현장에서도 더욱 주의를 기울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국내 최대 민간 주도 ‘전남해상풍력1단지’ 상업운전 개시

    국내 최대 민간 주도 ‘전남해상풍력1단지’ 상업운전 개시

    사회이슈
    2025-05-21 13:30:52 이정윤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공유수면해상에 위치한 전남해상풍력1단지에10MW급 풍력발전기가 설치돼 있다. ▲전남해상풍력1단지 사업 개요 인포그래픽 국내 최대 규모의 민간 주도 해상풍력 프로젝트인 ‘전남해상풍력1단지’가 상업운전을 개시했다.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한 국내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 구축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SK이노베이션E&S는 지난16일부터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공유수면에 위치한 전남해상풍력1단지의 가동을 본격 개시했다고21일 밝혔다.전남 신안군 연안으로부터 약9km가량 떨어진10~20m수심의 해역에서 고정식 해상풍력 발전을 하는 개발사업 단지다.민간이 주도한 해상풍력단지 사업 중 국내 최대 규모로(96MW)설치된 풍력발전기10기가 국내 가구 평균 기준 약9만 가구가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약3억107만kWh)를 생산한다.상업운전 개시 이후 일 평균91만3000kWh발전량을 기록하며,일 평균 발전 목표량을 안정적으로 달성하고 있다.또 동일 전력량을 생산하는 석탄화력발전소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비교하면 연간 약24만 톤의 탄소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SK이노베이션E&S와 덴마크 에너지 투자회사CIP는 각각51%와49%의 지분을 출자해 전남해상풍력㈜을 설립했다. 2017년9월 발전사업 허가를 시작으로2022년7월 공유수면 점용·사용허가를 획득했고, 2023년3월 이후부터 육·해상 공사에 돌입했다.지난해12월에는 풍력발전기10기 설치를 완료했으며,올해 초 시운전을 거쳐 무사히 상업운전을 개시했다.SK이노베이션E&S는1단지 상업가동에 이어CIP와 함께2027년 말부터2단지(399MW), 3단지(399MW)를 추가로 건설해2031년까지 약900W급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이는 국내 원자력발전소1기 설비용량과 유사한 수준이다.해상풍력은 바다 위에 설치된 발전설비를 통해 바람의 힘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발전원이다.전남해상풍력1단지가 위치한 자은도는 연평균7~8m/s의 바람이 안정적으로 불고,수심이 얕아 고정식 해상풍력 설치에 적합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특히 이 사업은 국내 최초의 민간 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로,기업이 별도의 보증 없이 자체 신용만으로 자금을 조달한 비소구(Non-Recourse)프로젝트 파이낸싱(PF)*사례로 평가받는다.또한 다양한 규제를 민관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극복한 사례로도 평가받고 있다.*비소구(Non-recourse)프로젝트 파이낸싱(PF):별도의 담보나 보증 없이 순수하게 사업계획과 미래의 현금흐름 등을 평가해 대출이 이뤄지는 금융기법SK이노베이션E&S는 전남해상풍력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지역과의 상생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주민참여 제도를 통해 발전소 수익의 일부를 신안군 주민에게 공유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계획이다.또 공사 과정에서 목포·신안 지역의70여개 업체와 협력하는 등 지역 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했다.전남해상풍력1단지는 풍력발전기 타워,하부 구조물,송전 케이블 등 주요 기자재와 설치 장비75%가량을 국내 기업과 협력해 제작한 국산화 장비를 사용,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생태계 형성 및 기술 역량 강화에도 역할을 했다.특히 국내 해상풍력 최초로 모노파일(Monopile:하부구조물:대형 해상풍력 터빈을 해저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강철 원기둥 구조물로,경제성이 높고 설치가 용이하며 얕은 수심에 적합함 ) 하부구조물이 적용됐다.해수면에서 발전기까지 높이가127m,블레이드 길이가97m에 달하는 초대형 발전기로,해상풍력발전기 전용설치선(프런티어호)이 투입된 단일 해상풍력발전기 중 국내 최대 규모(10MW급)로 주목받았다.향후 전라남도와 신안군은2035년까지 총8.2GW규모의 세계 최대 전남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전남해상풍력1단지는 이 가운데 첫 완공 사례로,향후 추진될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국내 기업들의RE100대응 등 국가 차원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실현하는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추형욱SK이노베이션E&S사장은 “전남해상풍력1단지는 국내 해상풍력 산업의 본격적인 도약을 알리는 상징적 프로젝트”라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바탕으로 국내 해상풍력 산업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수준의 재생에너지 확대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정준호 시의원, '세계 벌의 날’ 맞아  꿀벌 보호 조례의 적극적 시행 및 정책 강조

    정준호 시의원, '세계 벌의 날’ 맞아 꿀벌 보호 조례의 적극적 시행 및 정책 강조

    친환경가이드
    2025-05-21 11:59:26 이정윤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세계 벌의 날을 맞이해 생태계 파수꾼인 꿀벌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서울시의 꿀벌 보호 정책과 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최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매년 5월 20일은 ‘세계 벌의 날(World Bee Day)’로 2017년 국제연합(UN)이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지정한 기념일이다. '세계 벌의 날' 지정과 더불어 세계 여러 나라와 기업들이 다양한 꿀벌 보호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정준호 의원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급감하고 있는 꿀벌 개체 수를 보호하고, 도시양봉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서울시 꿀벌 보호 및 양봉산업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조례 시행(2024.07.15.) 이후에는 꿀벌 ESG 포럼을 개최해 기후변화와 살충제 사용, 밀원식물의 감소 등으로 사라져가는 꿀벌 서식지 보호를 위한 민관협력 필요성을 강조해왔다.서울시는 해당 조례에 근거해 다양한 꿀벌 보호 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올해는 △양봉 기술지원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도시공원 내 밀원식물 식재 △꿀벌 정원 조성 △한강 야생벌 살리기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정준호 의원은 서울시가 조례 제정에 따라 꿀벌 생태계 회복과 양봉산업 지원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발전이라고 평가하며,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특히, 서울시가 올해 현대엔지니어링과 협력해 북서울꿈의숲에 꿀벌 정원을 조성하고 있는 것에 대해 “민간 기업이 꿀벌 보호에 동참한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향후 유사한 민관협력 모델이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이애 대해 정 시의원은 “꿀벌의 멸종은 생태계 파괴와 식량 위기로 이어진다.”고 언급하며, 서울시가 꿀벌 보호 정책 및 사업의 지속적 확대를 통해 생태계 회복에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 최호정 의장, 앙카라시의회 대표단 초청...양 의회 간 우호 다져

    최호정 의장, 앙카라시의회 대표단 초청...양 의회 간 우호 다져

    사회이슈
    2025-05-21 11:55:31 이정윤
    서울시의회 최호정 의장은 5월 19일~24일 일정으로 상호결연도시인 튀르키예 앙카라시의회 대표단을 공식 초청해 양 의회 간 우호를 증진한다. 앙카라시의회의 서울 방문은 2018년 후 7년 만이다.  이번 앙카라시의 25개 자치구 중 하나인 플라틀리 시(市)의 뮤르셀 일디즈카야 시장을 비롯해 앙카라시의원 등 총 7인으로 구성된 대표단은 6일간의 일정 동안 서울과 부산을 방문한다.  지난 20일 서울시의회를 공식 방문한 앙카라시의회 대표단은 최호정 의장 등 의장단을 면담하고 환영오찬 행사에 참석했다. 이어 주한튀르키예대사관을 방문해 무랏 타므르 대사 등과 면담했다.  서울시의회와 영등포구청 주최로 마련되는 앙카라 하우스 개관식 및 공식오찬에 참석하고, 이후 환경재생 생태공원 및 조경우수 사례 선유도 공원를 방문해 시찰할 예정이다.  22일에는 부산으로 이동해 부산시의회 안성민 의장을 면담하는 한편, 유엔공원을 방문해 한국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튀르키예군 묘지에 헌화할 예정이다.  한편, 앞서 19일에는 한성백제박물관을 방문해 김지연 관장을 면담하고, 전시 중인『히타이트:오리엔트 최강의 제국』을 관람했다. 히타이트는 3700년 전 현 튀르키예 지역 아나톨리아 고원에서 번영한 인류 최초로 철기를 사용한 문명이다. 최호정 의장은 “도시 간 외교를 해보니, 결국 서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여러 도시와 정책을 공유하는 등 함께 교류하고 같이 발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서울시의회의 대표적인 교류 의회이자 칸 카르데쉬(피를 나눈 형제라는 뜻)인 튀르키예 앙카라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의회는 97년 7월 앙카라시의회와 상호결연 협정을 체결했으며, 지난해 김현기 前 의장 등 서울시의회 대표단이 앙카라를 방문, 만수르 야바쉬 시장과 면담하고 앙카라에 위치한 한국공원을 방문해 한국전 참전용사들과 헌화행사를 한 바 있다.  
  • 하나은행,  '하나원큐 스마트패스' 서비스 시행

    하나은행, '하나원큐 스마트패스' 서비스 시행

    사회이슈
    2025-05-21 11:52:08 이정윤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지난 20일 해외여행 손님의 신속하고 편리한 출국을 돕기 위해 인천국제공항 전용 ‘하나원큐 스마트패스’ 서비스를 시행했다고 밝혔다.‘스마트패스’는 여권, 안면정보, 탑승권을 사전에 등록하면인천국제공항의출국장 및 탑승구를얼굴 인증만으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어, 번거로운 출국절차를 혁신적으로 간소화한 서비스다.이번 서비스 시행으로 하나은행 대표 모바일 앱 ‘하나원큐’에서 스마트패스이용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손님들은 ‘하나원큐’ 앱 하나로▲출국절차 간소화(스마트패스)▲당일수령 외화환전(환전지갑) ▲면세점 제휴 쿠폰(외환혜택라운지)등 즐겁고 편리한 해외여행 경험과혜택들을 누리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하나은행은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2001년 이래 24년간 인천국제공항과 동행해 온 유일한 은행으로, ▲제1여객터미널 지점(2층 일반지역 중앙) ▲제2여객터미털 출장소(지하 1층 동편) 운영을 통해 국내외 여행객들은 물론 인천국제공항 종사자들에게도 최상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다.하나은행 디지털채널본부 관계자는“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스마트패스 연계로 해외여행객 및 공항 종사자 등 공항을 이용하는 손님들의 편의성이 증대되길 기대한다”며, “하나원큐 앱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와 비금융 서비스들이, 인천국제공항에서 첫 여정을 시작하는 손님들께 즐거운 경험으로 남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오뚜기. HDEX… '3분 단백질 다크초코맛' 출시

    오뚜기. HDEX… '3분 단백질 다크초코맛' 출시

    사회이슈
    2025-05-21 11:34:40 이정윤
    ㈜오뚜기가 3분 브랜드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단백질 음료 ‘3분 단백질 다크초코맛’을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국내 대표 스포츠 브랜드 에이치덱스(HDEX)와 협업하여 개발한 기능성 단백질 드링크이다. 특히, 바로 마실 수 있는 병 음료 형태로 언제 어디서나 들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특ㅎ; ‘3분 단백질 다크초코맛’은 단백질 23g과 BCAA 4,500mg, 타우린 1,000mg을 함유하고 있어 운동 전후는 물론, 일상에서도 간편하게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제품이다. 부담 없이 깔끔하게 즐길 수 있는 다크초코맛으로, 단백질 하루 섭취 권장량의 40% 이상을 이 한병으로 충족할 수 있다. 해당 제품은 오뚜기몰에서 5월 21일부터, 전국 GS25 매장에서는 5월 24일부터 판매될 예정이다. ㈜오뚜기 관계자는 "이번 제품은 오뚜기 대표 브랜드인 ‘3분’이 지닌 간편함에 HDEX의 건강 이미지를 더한 제품”이라며, “운동 전후는 물론 일상 속 부담 없이 맛있게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어 건강을 챙기는 많은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오뚜기는 이번 협업에 앞서 ‘3분’ 브랜드 IP를 활용하여 HDEX와 협업한 '3 Mins to better' 짐웨어를 출시한 바 있다
  • KB국민은행,  ‘2025 KB 연금컨퍼런스’ 개최

    KB국민은행, ‘2025 KB 연금컨퍼런스’ 개최

    사회이슈
    2025-05-21 11:29:56 이정윤
    ▲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은 지난 16일 ‘2025 DB Insight’를 주제로 DB퇴직연금 고객 초청 행사인 ‘KB연금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불확실의 시대’이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에 퇴직연금 담당자 약 150여 명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금융시장 환경에서 퇴직연금 운용 전략과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안영준 KB국민은행 수석컨설턴트가 DB시장 시계열 분석을 바탕으로 한2025년 적립금 운용전략을 소개했다. 이어서 두번째 세션에서는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키움자산운용 등 각 사의 자산운용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이 높은 현재 DB퇴직연금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투자 전략을 발표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하 시기에 대응하기 위한 퇴직연금 운용 전략에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KB국민은행은 맞춤형 운용 전략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기업들의 안정적인 퇴직연금 운용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ESG 사회공헌 관심도 1위 롯데건설 …HDC현산·대우건설 순

    ESG 사회공헌 관심도 1위 롯데건설 …HDC현산·대우건설 순

    사회이슈
    2025-05-21 07:59:50 이정윤
    21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올 1분기 주요 건설사들의 사회공헌 포스팅 수를 분석했다고 밝혔다.조사 대상은 임의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현대건설 △호반건설 △GS건설 △포스코이앤씨 △DL이앤씨 △현대엔지니어링 △삼성물산 건설부문 △SK에코플랜트 등이다.조사 키워드는 '건설사 이름' + '어르신, 청소년, 청년, 기부, 기탁, 봉사, 장애인, 독거, 취약계층, 다문화' 등이며 두 키워드간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과 달라질 수 있다.분석 결과 롯데건설이 총 1180건의 관련 정보량을 보이며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3월 마이민트의 한 유저는 "롯데건설 임직원들로 구성된 '샤롯데 봉사단'이 거동이 불편한 분들에게 반찬을 전달하거나 소외계층 어르신들께 식사를 대접하며 안부를 살핀 바 있다"고 말하며 "건설업 특성을 살려 오래된 도배지와 바닥 장판 교체 작업을 진행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같은달 네이버의 한 블로거는 "롯데건설과 롯데의료재단이 함께한 '롯데건설 후원 치료실' 기부자 현판식이 하남 보바스병월에서 진행됐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이번 행사는 장애아동들의 안정적인 재활치료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롯데건설의 기부를 기념하는 자리로, 기부자의 공로를 기리고 기부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1월 네이버의 한 블로거는 "롯데건설이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2024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심사에서 2년 연속으로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으로 선정됐다"고 전했다.HDC현대산업개발이 총 1127건의 사회공헌 포스팅 수로 관심도 2위에 올랐다.3월 팍스넷의 한 유저는 "HDC현대산업개발은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현장 릴레이 여섯 번째 봉사활동으로 서울시 노원구 중랑천 일대의 환경 정화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말했다.그는 "HDC현대산업개발 서울원 아이파크 현장 직원, 건축본부 직원들과 지역주민, 지역아동센터 아이들 등은 서울시 노원구 중랑천 일대에서 EM(유용한 미생물) 흙공을 직접 만들어 중랑천에 던지고 주변 환경을 정리하는 '플로깅'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덧붙였다.같은달 뽐뿌의 한 유저는 "HDC현대산업개발은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현장 릴레이 세번째 봉사활동으로 서대문구를 방문했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HDC현대산업개발은 DMC가재울아이파크 현장과 개발본부 임직원, 서대문종합사회복지관 봉사자 등 10여 명이 서대문종합사회복지관에서 복지관을 방문하는 어르신들과 주변 이웃들을 위해 먹거리를 나눠주는 푸드트럭 식사 지원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대우건설이 640건으로 3위에 올랐다.2월 뽐뿌의 한 유저는 "대우건설이 임직원 모두가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에 함께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으쓱(ESG)워킹그룹'을 창단했다"고 말했다.이 유저는 "함께으쓱(ESG) 걷기챌린지는 대우건설 임직원들의 걸음 수 집계를 통한 기부 챌린지로, 휴대폰 앱으로 직원들의 걸음수를 집계해 일정 목표 걸음 수를 달성하면 기부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덧붙였다.이밖에 현대건설 559건, 호반건설 327건, GS건설 289건, 포스코이앤씨 283건, DL이앤씨 108건, 현대엔지니어링 48건, 삼성물산 건설부문 17건, Sk에코플랜트 9건 순으로 나타났다.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올 1분기 조사대상 건설사들의 사회공헌 전체 포스팅 수는 총 458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1건, 3.80% 소폭 감소하는데 그쳤다"면서 "올들어 건설경기가 하락한 것을 고려하면 관련업계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마인드는 여전히 식지않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전했다.
  • 환경부·금강유역환경청·산수그린텍·한국환경보전원, 업무협약 체결

    환경부·금강유역환경청·산수그린텍·한국환경보전원, 업무협약 체결

    사회이슈
    2025-05-21 07:48:48 이정윤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민간기업인 산수그린텍, 금강유역환경청 및 한국환경보전원 등 관계기관과 함께 5월 20일 정부세종청사 6동에서 ‘자연환경복원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민관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기업의 자발적인 환경 책임과 생태복원 활동 참여를 강조하는 흐름(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22.12): 2030년까지 훼손생태계 30% 이상 복원, 자연자본에 대한 기업의 위험·기회 공시 등 )에 발을 맞춘 것이다. 아울러 정부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협력의 본보기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이번 협약은 자연환경복원사업에 민간 기업이 참여하고 실적을 인정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 된 이후 처음으로 체결되는 민관협력 업무협약이다. 민간 기업이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경영 등 사회적 책무를 강화하고, 그 실적을 환경부로부터 인정받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실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민간기업인 산수그린텍은 금강유역환경청에서 제공하는 수변구역의 생물서식처 조성 등을 위한 설계와 시공을 비롯해 일정기간 동안 사업 지역의 유지 관리를 맡는다. 한국환경보전원은 산수그린텍의 자연환경복원 참여에 따라 복원사업의 시행과 실적인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컨설팅) 정보를 제공한다. 환경부는 자연환경복원사업의 민간참여에 대한 실적인정 시범운영을 통해 내년도 민간참여 및 실적인정 제도 시행(2026.3.19.)에 맞춰 구체적인 민간참여 절차와 협력방법, 실적인정 내용 등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아울러 이번 민관 업무협약을 계기로 다양한 기업들이 자연환경복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업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실천 및 생물다양성 증진 활동 등의 협력 모범사례를 확대할 예정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이번 협약은 법적 기반 위에서 민간과 공공이 함께 자연을 회복하는 실질적인 첫걸음”이라며,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부,환경정보 국제표준 교육과정 운영으로 탄소중립 등 신규분야 전문가 양성

    환경부,환경정보 국제표준 교육과정 운영으로 탄소중립 등 신규분야 전문가 양성

    사회이슈
    2025-05-21 07:48:03 이정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금한승 원장)은 환경정보(기관(조직)의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자원 소비량 등의 환경정보) 검증 역량 강화를 위해 인정평가위원 및 검증심사원 약 300명을 대상으로 5월 21일부터 6개월간 ‘환경정보 국제표준 교육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인정평가위원은 국가인정기구(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정보 검증(ISO/IEC 17029 & ISO 14065) 분야로 국제인정기구(IAF)와 상호인정협정을 체결하고 국가인정기구(ISO/IEC 17011) 지위 확보(‘24.4.24.) ) 소속 심사위원으로 환경정보 검증기관을 심사·평가하고 그 결과를 국립환경과학원에 제출하는 업무를 맡고 있으며 현재(2025년 5월 기준) 30여 명이 있다.  검증심사원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23년부터 최근까지 공인한 13개 환경정보 검증기관(공공·민간) 인력(약 340여 명)으로 이들은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량, 국제항공 탄소상쇄·감축제도, 제품탄소발자국 등의 환경정보를 검증한다. 이번 교육과정은 총 6개 주제(①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량 산정 및 보고, ②탄소중립 검증 지침, ③환경정보 일반 요구사항, ④온실가스 제품탄소발자국 산정 및 보고, ⑤지속가능경영 공시기준 및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관련 기준 동향, ⑥지속가능성 정보 검증 절차)    )로 구성되어 올해 11월 20일까지 순차적으로 운영된다. 이번에 개설되는 첫 번째 교육과정은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량 산정 및 보고’를 주제로 국제표준에 부합한 검증 이론과 실무 중심의 스코프3(온실가스 배출량의 일종으로 온실가스 측정대상 및 범위에 따라 △스코프1(기업이 소유·통제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직접 배출량), △스코프2(기업이 구매·사용한 에너지원 생산 시 발생하는 간접 배출량), △스코프3(기업의 소유·통제 범위 외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간접 배출량)로 구분 ) 검증 사례를 배운다.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교육을 통해 탄소중립 등 신규 환경정보 검증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교육을 받은 인정평가위원과 검증심사원 인력이 국제사회에서도 검증업무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종천 국립환경과학원 기후탄소연구부장은 “이번 교육은 환경정보 분야에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검증 인력 양성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가능성 정보 등 신규 검증 분야에서의 국제상호인정 확대에 대비해 전문가 양성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많이 본 뉴스

  • 이슈

    2,236명이라던‘무적자’아동 ...미혼부가 출생신고한 아동 포함

    안상석 2023-06-30 12:43:04
  • 사회일반

    국토부, LH 주거취약계층 대상 신규사업 중단

    안상석 2023-06-27 06:55:56
  • Earth

    2025년 백두산 폭발? ... 기상청 공식 입장 확인해보니...

    김정희 2023-05-02 18:20:24
  • 사회일반

    현대제철, ‘H CORE’ 리론칭, 프리미엄 건설용 강재 브랜드로 재도약

    안상석 2023-06-30 17:00:35
  • Guide

    방치되는 홈트 용품 처리 방법? 대부분 일반 쓰레기로 분리 배출해야…정확한 가이드라인 必

    이동규 2022-02-15 21:10:59
  • 동국제약

최신기사

  • 우리아이들의료재단, 수해 이웃 돕기 성금 기부
    사회이슈

    우리아이들의료재단, 수해 이웃 돕기 성금 기부

    이정윤 2025-08-08 15:29:16
  • 도심에 너구리 출몰? ‘만지면 절대 안 돼요’
    국내이슈

    도심에 너구리 출몰? ‘만지면 절대 안 돼요’

    안영준 2025-08-08 15:25:59
  • 바디프랜드, 곽도연·김철환 신임 공동 대표이사 선임
    경제이슈

    바디프랜드, 곽도연·김철환 신임 공동 대표이사 선임

    실무 기반의 4050 젊은 리더십 발탁… 영업·경영관리 각 부문별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
    이정윤 2025-08-08 15:25:53
  • 강북구, 어르신 대상 건강기능식품 허위·과대광고 피해 막는다
    정책이슈

    강북구, 어르신 대상 건강기능식품 허위·과대광고 피해 막는다

    경로당 52곳 순회하며 현장 교육신고 요령 안내시니어감시원 통해 피해 예방 및 불법 광고 정보 수집
    이정윤 2025-08-08 06:53:18
  • 동대문구, 새샘근린공원 ‘힐링라운지’ 개장…     ICT 기반 휴식공간 제공
    정책이슈

    동대문구, 새샘근린공원 ‘힐링라운지’ 개장… ICT 기반 휴식공간 제공

    용두근린공원 내 스마트쉼터는 ‘용두숲마루’로 명칭 변경
    이정윤 2025-08-08 06:52:30
  • 부영
  • spc
  • 중외제약
  • sk그룹

데일리기획

  •  내가 입는 감정, 바디플라워는 패션이 된다
    데일리기획

    내가 입는 감정, 바디플라워는 패션이 된다

    - 우리는 감정을 '입고', '느끼고', '나누는' 시대에 살고 있다 - 조혜영 디자이너의 ESG 감정생태 칼럼
    조혜영 칼럼리스트 2025-07-16 11:20:17
  •  무더위를 피하는 여름의 피크 ‘휴가’…환경도 함께 지켜요!
    데일리기획

    무더위를 피하는 여름의 피크 ‘휴가’…환경도 함께 지켜요!

    안영준 2025-07-02 13:56:48
  •   “전통을 넘어  감정을 입는 시대,  바디플라워의 현대적 전환”
    데일리기획

    “전통을 넘어 감정을 입는 시대, 바디플라워의 현대적 전환”

    - 감정은 더 이상 내면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몸 위에서 꽃피는 시대 - 조혜영 디자이너의 ESG 감정생태 칼럼
    조혜영 칼럼리스트 2025-06-25 10:29:00
  •  “몸 위에 피는 감정 ... 바디플라워의 탄생”
    데일리기획

    “몸 위에 피는 감정 ... 바디플라워의 탄생”

    - 나는 꽃을 꺾지 않는다. 나는 감정을 꽃으로 피운다 - 조혜영 디자이너의 ESG 감정생태 칼럼
    조혜영 칼럼리스트 2025-06-16 12:41:08
  •  환경부 “지속적인 환경 정책 펼쳐나갈 것”
    데일리기획

    환경부 “지속적인 환경 정책 펼쳐나갈 것”

    안영준 2025-01-24 06:46:54

데일리지구

  • 극한 날씨가 집 안 풍경도 바꿨다! 기후 변화, 이대로 괜찮을까
    대기·기후

    극한 날씨가 집 안 풍경도 바꿨다! 기후 변화, 이대로 괜찮을까

    안영준 2025-08-07 06:40:01
  • 날지 못하는 새 펭귄의 비밀 ‘사실은 롱다리?’
    생태·환경

    날지 못하는 새 펭귄의 비밀 ‘사실은 롱다리?’

    안영준 2025-08-04 06:53:42
  • 해양수산부XKBS, 해양 쓰레기 다큐 제작...충격적 장면 포착
    생태·환경

    해양수산부XKBS, 해양 쓰레기 다큐 제작...충격적 장면 포착

    안영준 2025-08-01 16:05:39
  • 해파리, 쏘였을 때 식염수+바닷물로 상처 헹궈야! 
    생태·환경

    해파리, 쏘였을 때 식염수+바닷물로 상처 헹궈야! 

    안영준 2025-07-22 13:50:12
  • 비닐은 왜 포기할 수 없을까? ‘행동’만 하면 된다!
    위기의지구

    비닐은 왜 포기할 수 없을까? ‘행동’만 하면 된다!

    김정희 2025-07-21 07:23:54

Daily +

  • 환경부, 진잠초(대전)·경서중(대구)·제주사대부중(제주) 등 3개교 선정
    친환경가이드

    환경부, 진잠초(대전)·경서중(대구)·제주사대부중(제주) 등 3개교 선정

    2025년 환경교육 우수학교 지정서 수여식 개최
    이정윤 2025-07-21 07:23:48
  • 서울친환경유통센터 든든급식, 가공식품 본격 공급 시작 7월부터 김치·장류·유제품 등 13종 공급 개시
    건강·생활

    서울친환경유통센터 든든급식, 가공식품 본격 공급 시작 7월부터 김치·장류·유제품 등 13종 공급 개시

    이정윤 2025-07-17 19:56:22
  • 음식물 쓰레기 줄일 수 있는 똑똑한 소비
    친환경가이드

    음식물 쓰레기 줄일 수 있는 똑똑한 소비

    김정희 2025-07-16 19:52:45
  • 비건 뷰티, 피부에도 지구에도 착한 선택
    건강·생활

    비건 뷰티, 피부에도 지구에도 착한 선택

    안영준 2025-07-15 07:25:26
  • 폭염,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 공개!
    친환경가이드

    폭염,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 공개!

    김정희 2025-07-13 22:38:18

ESG

  • 하나금융그룹, 혹서기 취약 어르신을 위한 봉사ESG활동 실시
    지속가능경영

    하나금융그룹, 혹서기 취약 어르신을 위한 봉사ESG활동 실시

    복지관 방문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삼계탕, 초계국수 등 담은 행복상자 100개 지원
    이정윤 2025-08-03 18:15:50
  • 김용호 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
    지속가능경영

    김용호 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

    “ESG 경영, 선언에 그치지 않고 지난 3년간 포럼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에 실질 반영되어야” 강조
    이정윤 2025-07-23 22:42:09
  • 하나금융그룹,   '하나 愛너지 절약 캠페인'실시
    사회이슈

    하나금융그룹, '하나 愛너지 절약 캠페인'실시

    올해 초 전국적으로 발생한 산불 피해 지역에 나무 500그루 기부로 산림 복원에 기여
    이정윤 2025-07-22 14:33:53
  • 조선해양산업 ESG규제대응 및 공급망강화방안 토론회 성료
    지속가능경영

    조선해양산업 ESG규제대응 및 공급망강화방안 토론회 성료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방안 논의
    이정윤 2025-07-18 21:19:13
  • 나아바,   기빙플러스와 ESG 협약 체결...실내공기질로 복지를 설계
    지속가능경영

    나아바, 기빙플러스와 ESG 협약 체결...실내공기질로 복지를 설계

    실내환경 개선 중심의 새로운 사회공헌 모델로 지속가능한 복지 실현 나서
    이정윤 2025-07-16 11:30:59
  데일리환경
  • 매체소개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기사제보
  • 제휴문의
  • 데일리환경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31길 17 (원효로3가)
  • 대표전화 : 02-6012-1103
  •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김정희
  • 발행인 : (주) 미디어안
  • 편집인 : 안상석
  • 등록번호 : 서울 아 03371
  • 등록일 : 2009-06-05
  • 제보메일 : dailyt@naver.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데일리환경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데일리환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