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하수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한강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고도하수처리시설인 ‘총인처리시설’을 중랑·난지·탄천·서남 등 서울에 있는 4개 물재생센터 전체에 설치한다.
4개 센테의 1일 처리능력은 총 204만톤 규모다. 총 2346억원(국비 836억원)을 투자해 2019년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총인은 호소, 하천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물속에 포함된 인의 농도를 의미한다. 인 성분이 과다 포함된 물이 하천이나 호수로 유입되면 녹조 현상 발생, 수중생물 폐사, 수질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설치규모는 각 물재생센터별로 ▲중랑 41.2만톤 ▲난지 43.9만톤 ▲탄천 45만톤 ▲서남 73.7만톤이다.
‘총인처리시설’은 하수 중에 포함된 총인을 응집시켜 처리하는 시설로 총인 농도를 낮추는게 목적이다. 기존엔 물재생센터 내 하나의 시설에서 처리해 총인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시는 그동안 총인처리시설 부재로 생물반응조내 응집제투입을 통해 총인을 제거해 왔다.
총인처리시설을 갖추면 하수처리 방류수의 총인 농도가 0.3~1.2mg/ℓ 수준에서 평균 0.2mg/ℓ 이하로 대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강 본류의 총인 농도도 0.15~0.35mg/ℓ 에서 0.1mg/ℓ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총인처리시설로 ▲한강 수질개선 ▲생태계 보전 ▲방류수의 안정적 처리 및 관리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총인처리시설 설치를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에 걸쳐 설계 및 공법선정, 예산확보 등을 준비해왔다.
한제현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서울시 4개 물재생센터에 총인처리시설 설치가 완료되면 한강 수질이 더욱 개선돼 한강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총인처리시설 설치를 계기로 물재생센터는 하수처리 본래 기능과 더불어 한강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보전의 핵심 시설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