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오는 2030년까지 4대문안의 승용차의 교통량을 30%까지 줄이고, 차량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40% 감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세종대로, 을지로, 퇴계로 등 현재 8~10차로에 이르는 주요 도로의 차로를 4~6차로로 줄이고, 대신 자전거·대중교통 등 녹색 교통 이용공간을 2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의 한양도성 녹색교통진흥지역의 특별종합대책(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녹색교통진흥지역이란 ‘지속가능교통물류발전법’에 따라 녹색교통의 발전과 진흥을 위해 특별관리하는 지역을 말한다.
시는 국내 최초로 지난해 3월 한양도성 내부(4대문안) 16.7㎢ 구간을 녹색교통진흥지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대책에 따르면 4대문안의 주요 도로는 4~6차로로 줄이기로 했다. 버스 통행이 많은 도로는 버스전용차로를 포함해 최대 6개 차로로, 나머지 차도는 최대 4개 차로로 재편한다. 여기서 확보되는 공간은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 등 녹색교통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올해에는 도심 주요사업과 연계돼 보행량의 증가가 예상되는 퇴계로(퇴계로2가~5가, 1.2km), 을지로(시청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 3.7km), 세종대로(세종대로사거리~서울역교차로, 1.5km) 등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도로공간 재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2030년까지 통일로, 남대문로, 세종대로 단절구간을 연결을 통한 도심 중앙버스전용차로 네트워크를 완성하고, 녹색교통진흥지역 내 모든 정류소에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를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보행자와 자전거·전기차 등 친환경 교통수단의 이동 편의와 안전성 강화를 위한 사업도 집중 시행할 계획이다.
올해 서촌과 을지로 등 보행특구를 추가 지정을 시작으로 4대문안 전 지역으로 보행특구 지정을 확대할 예정이다.
공공자전거 ‘따릉이’ 운영지점도 지난해 60곳에서 올해 101곳으로 확대하는 한편, 차량의 운행 속도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간선도로는 시속 50km, 이면도로는 시속 30km로 제한할 방침이다.
전기버스나 전기차 나눔카 등 친환경차 운행도 확대한다. 올해 30대를 시작으로 2025년까지 총 3000대 예정인 전기버스는 4대문안 운행 노선에 우선 투입하고, 서울형 승용차공동이용 서비스인 ‘나눔카’를 2020년까지 100%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다.
친환경등급 하위차량에 대한 운행 제한에도 나선다. 올해 환경부 ‘친환경등급제’에 따라 4대문안 진입 지점 43곳에 내년까지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을 설치해 친환경 자동차 하위등급 차량을 단속할 예정이다.
또 4대문안 대형 쇼핑몰 등 대규모 교통유발시설물에 대해서는 자발적인 승용차 이용 감축 계획 수립을 유도하고, 효과가 미미할 경우 해당 시설물에 대해 교통혼잡 특별관리시설물 지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2020년까지 교통유발부담금의 단위부담금을 연차별로 상향 조정해 원인자 부담원칙에 따른 책임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에 제출한 녹색교통진흥지역 특별종합대책이 국토부의 승인·고시를 통해 최종 확정되면 분야별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하여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고홍석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6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서울의 심장부 한양도성을 우리나라 첫 녹색교통진흥지역으로 지정 운영하는 것은 역사 도심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며, “특별종합대책이 조속히 통과돼 도심 교통환경 개선 필요성에 공감하는 많은 시민 분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서울교통을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