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학교-기업까지...탄소 중립 위한 실천 수칙 공개 

안영준 기자 발행일 2024-06-27 14:36:54 댓글 0

가정, 학교, 기업 등에서 환경 보호를 위한 다양한 실천 루틴을 이어가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 위기 상태에 직면해있기 때문에 오히려 탄소 중립을 위한 행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가 된 것이다. 

번거로울 수 있지만, 습관이 되면 오히려 당연한 행동이 된다. 그리고 이런 작은 습관과 실천이 모여서 지구를 좋게 만든다. 혹은 지구의 원래 상태를 지구에게 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위한 행동들은 무엇이 있을까? 환경부는 가정, 학교, 기업에서 실천할 수 있는 수칙을 공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리고 탄소중립 실천 행동을 관통하는 중요한 메시지는 ‘낭비하지 않는 것’이었다.

먼저 가정에서는 코드를 뽑아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전력 낭비를 막는 길이다. 기업에서는 효율이 높은 전자 기기를 사용하고, 학교에서는 빈 교실의 불을 끌 수 있다. 이 밖에도 컴퓨터, TV 등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을 꼭 꺼두는 것이 좋다.

착한 소비, 즉 지속 가능한 소비를 하는 것도 탄소중립 생활 실천이 된다. 가정에서 저탄소 제품을 구매하고 기업에서는 녹색 제품 구매 제도를 운영하고, 학교에서는 음식을 먹을 만큼 담고 남기지 않는 실천 방법이 있다. 실제로 일부 기업, 학교 등에서는 채식을 할 수 있는 채식 식단 등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내용이 진행되고 있다.

또 친환경 이동화를 생활화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전기나 수소 친환경차를 타고 기업에서도 공용 차량을 친환경 자동차로 바꿀 수 있다. 학교에 갈 때도 걷거나 대중교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자원 절약과 재활용을 실천할 수 있다. 가정에서 일회용품 대신 다회 용품을 쓰고 기업에서는 회의할 때 종이 사용을 줄이고 학교에서도 다회용 컵을 쓸 수 있다. 이 역시 다양한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실천하는 곳도 있다. 종이 회의를 없애고, 일회용품 사용을 규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자연 보호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다. 숲을 보호하고 사무실의 식물을 가꾸고, 학교에서도 나무를 심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일상 속 실천이 경제적 혜택으로 돌아오는 탄소 중립 포인트까지 활용할 수 있다.

기후변화주간이 진행되고 있지만, 1년 365일의 습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사진=픽사베이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