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이용자는 극히 저조하고, 구인·구직 매칭 실적조차 관리되지 않는 상황에서 운영 목적과 성과가 전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취지와 달리 성과 전무
정부의 일자리 플랫폼 사업은 구직자와 기업 간 매칭을 지원하여 건설 산업의 고용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일자리알리미」 이용자는 연평균 800명 수준(2025년 8월까지 556명)에 불과했고, 하루 평균 접속자는 약 3명에 그쳤다. 페이지 뷰 또한 연간 2천~3천 건에 머물러, 접속자 1명이 평균 2~3개 화면만 열람하고 이탈하는 수준이었다. 사실상 플랫폼이 고용 활성화라는 정책적 목적을 전혀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유사 플랫폼과 비교 시 경쟁력 없음
구직자 등록은 2022년 261명에서 2024년 907명으로 늘었지만 여전히 연간 1천 명에도 못 미쳤다. 반면 구인 공고는 같은 기간 66,325건에서 650건으로 급감해 99% 이상 줄었다. 반면 국가 일자리 플랫폼인 고용노동부 ‘워크넷(현 고용24)’은 2025년 1월 중 신규 구직 약 48만 명, 신규 구인 약 13만 명에 달했다. 민간 스마트 인력사무소 서비스 ‘일가자’ 역시 2025년 1월 기준 구직 회원 수가 27만 명에 이른다. 이와 비교하면, ‘일자리 알리미’는 규모나 성과 면에서 사실상 경쟁력이 전무하다.
매칭 관리도 안 되는 ‘유령 플랫폼’
조달청은 구직자와 구인 공고 간 매칭 실적을 전혀 추적·관리하지 않고 있아 실제 채용이 얼마나 이뤄졌는지조차 확인할 수 없다. 발주계획·계약정보 조회 건수도 매년 200~300건에 불과해, 사실상 활용도가 없는 ‘유령 플랫폼’임이 확인됐다.
예산은 계속 투입
성과가 없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달청은 「일자리알리미」가 하위 시스템으로 속한 조달정보시스템 통합 운영·유지관리 사업에 2025~2026년 총 138억 원(연 69억 원)을 배정했다. 전체 시스템 운영비라는 명목이지만, 결국 매년 수십억 원의 세금이 개점휴업 상태인 플랫폼 유지에 쓰이고 있는 셈이다.
조달청은 ‘일자리 알리미’가 민간 플랫폼과 기능이 중복돼 이용자 확산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운영 5년이 되는 2026년에 개선·폐지·통합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성과가 없음을 알면서도 예산을 계속 쏟아붓는 것은 무책임하며, 애초부터 성공 가능성이 낮은 사업을 강행한 대표적 예산 낭비 사례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박민규 의원은 “하루 평균 이용자가 3명에 불과한 플랫폼에 매년 수십억 원을 투입해 온 것은 사업 목적과 결과가 전혀 맞지 않는 것”라며, “성과가 없는 사업에 예산이 불필요하게 쓰이지 않도록 플랫폼 운영 실태를 면밀히 점검하고, 근본적인 구조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