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2명 “취업규칙 변경 전 노동자 합의 먼저”

이정윤 기자 발행일 2016-09-23 22:45:21 댓글 0

국민 3명 중 2명이 금융·공기업의 성과연봉제 도입은 먼저 노동자와 충분한 협의를 거친 후 실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지난 19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는 성인남녀 1045명을 대상으로 성과연봉제 확대·도입 여부와 관련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1%는 “노동자와 충분한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반면 ‘정부나 사용자 주도로 가능하면 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은 14.3%에 불과했다.


또 “성과연봉제의 확대·도입에 정부와 사용자 측이 너무 성급하게 밀어붙이고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매우 공감(21.5%), 다소 공감(41.4%) 등 응답자의 62.9%가 정부가 성급하게 추진한다고 말했다. 공감하지 않는다(거의 비공감 15.3%, 전혀 비공감 8.1%)라고 답한 비율은 23.4%에 불과했다.


또 67.3%의 국민은 노동자들이 불리해지도록 취업규칙을 변경할 경우 먼저 노동자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금융·공공기관에서 개인별 성과연봉제는 공익성과 배치돼 적당하지 않다(65.8%)’, ‘성과연봉제를 금융·공공기관에 확대·도입하면 단기 성과주의를 야기해 일반 국민에게도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64.3%)’는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여론조사의 응답률은 25%(총 통화시도 4,149명 중 1,045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0%p다.


한편, 23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은 성과연봉제 도입 반대와 관치금융 철폐를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번 파업은 2014년 9월 관치금융 철폐를 주장한지 2년 만이다. 애초 이번 파업으로 은행 업무 혼란을 예상했으나 정상 작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