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YTN 캡처 로나19 팬데믹 공포에 트럼프 미 대통령의 경기부양 대책을 내놓음에 따라 깜짝 반등을 보였던 글로벌 증시가 하루만에 다시 폭락했다. 다우지수는 18일(현지시간) 2만선이 무너졌다. 뉴욕증시도 장중 폭락하고 서킷브레이커가 다시 발동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338.46포인트(6.30%) 폭락한 19,898.92에 거래를 마치며 20,000선이 무너졌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31.09포인트(5.18%) 내린 2,398.10에 장을 마쳤고, 장중 7% 이상 폭락하고 15분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기도 했다. 나스닥지수는 344.94포인트(4.70%) 내린 6,989.84에 거래를 마치며 7,000선이 무너졌다. 나스닥지수가 6,000대로 내려온 것은, 지난 2018년 1월 2일 사상 처음이다.유럽 증시도 이날 4~5%대로 무너지며 투자자들을 경악시켰다. 영국 런던 FTSE 100 지수는 4.05% 하락한 5,080.58에, 프랑스 파리 CAC 40 지수는 5.94% 빠진 3,754.84에, 독일 프랑크푸르트 DAX 지수는 5.56% 내린 8,441.71로 장을 마감했다. 무섭게 코로나19 확진·사망자가 늘고 있는 이탈리아 밀라노의 FTSE MIB는 1.27% 하락한 15,120.48을 기록했고, 유로 Stoxx 50지수도 5.61% 내려간 2,388.66을 기록했다. 국제유가도 폭락세를 면치 못했다. 국제유가는 배럴당 아슬아슬하게 20달러를 사수했고, 안전자산인 금과 미국채 가격마저도 폭락을 면치 못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24.4%(6.58달러) 내려간 20.3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과 미 국채마저도 '팔자'에 나서며 바닥을 파고 내려가는 중이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3.1%(47.90달러) 하락한 1,477.90달러를 기록했다.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도 0.26%포인트 급등한 1.26%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