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별, 부주의로 인한 사고 36.5%로 가장 많아 부주의로 인한 해양오염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이달곤 의원(창원시 진해구, 농해수위)이 해경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 5월까지 해양오염 사고 건수는 1,437건으로 한 해 평균(’17~’21년 기준) 271건의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했으며 유출량은 1,768,900리터에 달했다. 해양오염원은 90%가 기름으로, 폐기물과 유해물질로 인한 오염사고도 매년 발생했다.
▲ 최근 5년간 해양오염사고 발생 현황 (2017~2022.5.)
▲최근 5년간 지역별 해양오염사고 발생 현황 (2017~2022.5.)
지역별 오염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부산이 289건으로 가장 많았고, 여수가 170건, 목포 121건, 울산 118건, 인천 99건 순이었다. 유출량 기준으로 보면 경남 통영이 704,200리터로 가장 많은 기름이 유출되었고 울산(188,400리터), 목포(163,100리터)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경남 통영에서는 2020년 9월 11일 리스폰더호가 통영 매물도 인근에서 기관실 화재로 표류하다, 9월 12일 욕지도 인근에 침몰하여 적재 중인 연료유 등 863,200리터 중 629,100리터가 바다로 유출됐다. 이는 5년간 전체 해양 오염물질의 35.5%에 달하는 양이다.사고 원인별로는 작업 중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전체의 36.5%(525건)으로 가장 많았고, 좌초 및 침몰 등 해양 사고 30.5%(438건), 파손 24.7%(355건), 고의 6.1%(88건), 미상 2.2%(31건) 순이었다.
▲최근 5년간 사고원인별 해양오염사고 발생 현황 (2017~2022.5.)
오염원별로는 어선이 42.2%(606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기타선(예인선, 준설선) 24.8%, 유조선 10.8% 순이었다.
▲최근 5년간 오염원별 해양오염사고 발생 현황 (2017~2022.5.)
이달곤 의원은“부주의로 인한 해양오염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관련 종사자의 주의가 필요하다”라며, “해경은 지역 및 대상별 오염사고 원인 분석을 바탕으로 해양오염 예방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ass1010@daily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