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최근 날로 심해지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1004억원을 투입, 노후 경유자동차 및 건설기계를 폐차·개조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서울 시내 자체 미세먼지 발생량의 37%를 차지하는 교통부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1004억 원을 투입, 올 연말까지 노후 경유차 및 건설기계 4만163대에 대해 저공해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우선 2005년 이전에 등록한 노후 경유자동차 3만8190대에 대해서는 ▲조기폐차 ▲매연저감장치 부착 ▲LPG엔진개조 ▲미세먼지-질소산화물 저감장치 부착 보조금을 지원한다. 시는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대상을 지난해 2만3468대에서 올해 3만2140대로 확대 지원한다. 보조금 지원방법도 개선해 주행거리가 많아 미세먼지를 다량 배출하는 영업용 화물차 조기폐차를 활성화해 조기폐차 지원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조기폐차 지원대상은 수도권 2년 이상 연속 등록되고, 소유권 이전후 6개월 경과 등 조기폐차 지원 조건을 만족하는 자동차다.조기폐차 지원금은 차종 규모별 최대 165만원에서 770만원을 지원하며,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일반대상자에 비해 지원율을 10% 추가해 지원한다. 특히 올해부터 차종 용도에 따른 보조금 구분을 자가용·영업용 구분해 보조금을 차등 적용하던 것을 자가용으로 일원화한다. 보험개발원에서 산정한 당해연도 분기별 차량기준가액표에 적시된 금액을 차량기준가액으로 하되, 차량기준가액표에 표기되지 않은 연식의 차량가액은 당해 연식이 기재된 최근연도 기준가액에 감가상각률을 매년 20%에서 15%로 인하 조정해 지원금을 확대하기로 했다.시는 경유차에 대한 매연저감장치 부착에 대해서도 5500대와 LPG엔진 개조 50대에 대해 지원한다. 지원금은 차량 규모별 최대 327만~928만원이다.지원대상은 노후 경유차 폐차지원과 마찬가지로 2005년 이전에 등록하고 현재 서울시에 등록돼 있는 차량이다.매연저감장치를 부착하는데 드는 비용은 차량에 따라 500만원에서 1000만원까지 드는데 는 이 금액의 약90%를 지원해 시민들의 자기부담은 10% 내외가 된다.관광버스, 대형화물차와 같은 대형경유차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해 미세먼지(PM)-질소산화물(NOx) 저감장치 부착도 추진한다. 올해 계획 물량은 작년보다 보다 3.1배 증가한 500대로 차량 1대당 최대 1368만원까지 지원받는다.노후경유차량 뿐만 아니라 건설기계에 대한 매연저감장치 부착과 엔진교체 지원사업도 병행한다. 시는 예산을 전년에 비해 약 2배 이상 확대해(135억→240억) 기존 1236대에서 1978대(매연저감장치 1149대, 엔진교체 824대)까지 늘렸다. 지원금은 차량 규모별 최대 935만~2527만원이다.자원 대상 건설기계는 굴삭기, 지게차, 덤프트럭, 콘크리트 믹서트럭(레미콘), 콘크리트 펌프트럭 5개 종류다. 황보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33만7000대의 노후 경유차량이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서울의 저공해화 사업에 동참했다”며,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로부터 시민건강을 지키기 위해 정부와 손잡고 적극적으로 예산 투입을 실시하는 만큼 경유자동차 및 건설기계 소유자께서는 경유차 저공해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