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론 유망분야.실종자 수색에 드론을 활용하면 시간이 83% 단축돼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접근 곤란지역이나 야간에 실종자를 수색할 때 드론을 활용하는 경우 수색 인력은 100명에서 3명으로 크게 줄어들면서도 수색 시간은 6시간에서 1시간으로 단축된다. 국가 통계분야에도 국·공유지 실태, 농업 면적 등 각종 조사에 드론을 활용하면 빠르고 정확한 대규모 조사가 가능해진다.이처럼 다양한 공공분야 드론 활용 촉진을 위해 민관협의체인 ‘드론산업진흥협의회’를 통해 수요·공급간 정보교류, 도입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국산 제품 우선 구매 등 우수제품에 대한 조달 시장 진출도 지원한다.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인력과 장비를 갖추고 드론 운영이 활성화된 선도기관을 분야별로 지정해 유사업무 수행기관 및 지자체, 민간 등으로 드론 운영 모델을 빠르게 확산시킬 예정이다. ‘한국형 K-드론 시스템’도 구축한다. 드론의 등록·이력관리부터 원격 자율·군집 비행까지 지원하는 한국형 K-드론 시스템을 개발·구축해 세계시장 진출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자동관제), 빅데이터(기형·지상정보 및 비행경로 분석), 5G기반 클라우드(실시간 드론 위치 식별·공유)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적용한 첨단 자동관제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구현한다. LTE, 5G 등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는 주변 드론의 비행정보(위치·고도·경로) 및 안전정보(기상·공역혼잡도·장애물 )가 제공되고, 출발·경유·목적지 등 사전 입력정보 기반으로 AI형 자동관제소의 통제에 따라 원격·자율 비행이 가능해진다.관리당국은 비행승인, 공역관리를 위한 정보를 지원 받고, 고유 식별장치를 통해 비행 경로이탈,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 미등록 비행체 등의 탐지·관리가 가능해진다.장거리 드론 비행 수요에 대응, 150m 이하 저고도 공역의 비행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교통관리를 위해 전용 하늘 길도 마련한다.수송, 정찰·감시 등 장거리·고속 비행 드론을 위해 전용 이동로(Drone-Highway)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비행수요가 높고 실증·운영이 용이한 거점지역을 정하고 이동방향, 속도, 비행수요 등을 고려해 이동로를 선정해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