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올해 말까지 총 70곳 내외의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을 선정하고, 내년부터 본젹 추진하기로 했다.시범사업 70곳은 광역지자체가 최대 3곳씩 45곳을 자체 선정하고, 중앙정부가 15곳, 공공기관 제안 공모를 통해 10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100대 국정과제 중 ‘도시경쟁력 강화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뉴딜 추진’ 이행을 위해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선정계획을 이달 말 확정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정부는 지난 7월 말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계획의 초안을 마련한 후 한 달여 동안 16개 광역지자체별 실무 협의, 도시·주택·국토·건축·교통·환경 등 다양한 전문가 간담회 등을 거쳐 선정계획 초안을 보완했다.또 8.2 부동산 대책에 따른 부동산 시장 동향을 살펴본 결과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서민 주거 및 부동산 시장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시장 과열을 초래하지 않는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뉴디사업 첫해인 올해는 시범사업으로 추진해 우수사례를 만들고 이를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기로 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내년 중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이 가능한 곳 등 준비가 돼 있고 개선이 시급한 지역을 선정해 사업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준비가 덜 된 지역 또는 사업에 대해서는 정부가 구성한 도시재생 전문가 집단 등을 활용해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비용도 일부 지원하기로 했다.국토부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대규모 철거 및 정비방식이 아니라 소규모 생활밀착형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맞춤형 도시재생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선정시 가점 부여 등을 통해 지역별 특색 있는 사업을 발굴해 차별화된 사업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사업지 선정은 부동산 시장 과열을 초래하지 않는 지역부터 지역별 시범사업 수준의 신규사업 70곳 내외를 선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선정권한을 대폭 위임해 주민 생활에 밀접한 주거지 재생사업 등 소규모 사업은 광역지자체가 45곳 내외를 선정한다. 소규모 사업은 약 15만㎡ 이하의 우리동네살리기, 주거지지원형, 일반근린형이 소규모 사업 등이다. 주변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고 범정부 협력이 중요한 중·대규모 사업은 중앙정부가 경쟁방식으로 15곳 내외를 선정하되, 지자체 주도로 사업계획을 수립·제안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대규모 사업은 20만~50만㎡의 중심시가지, 경제기반형 사업이 해당된다. 공적임대주택, 공공임대상가 공급 등 공공성이 강한 사업을 발굴하고 지자체를 지원하기 위해 공공기관 제안방식도 10곳 내외 도입한다. 선정 기준은 사업의 시급성과 필요성, 사업계획의 타당성, 사업의 효과를 기준으로 투명하게 평가한다. 초단열주택(패시브하우스), 사회적 경제 활성화, 신재생에너지, 스마트시티, 유니버설 디자인 등 주요 국정과제와 연계성 등도 반영할 예정이다. 사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둥지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및 지역 부동산시장 불안 등에 대한 대책도 중점적으로 평가하기로 했다.선정 절차는 중앙정부와 광역지자체에서 각각 10명 안팎 수준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서면평가와 현장 실사 및 컨설팅, 종합평가를 거쳐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통해 사업지역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향후 5년간 연평균 재정 2조원, 기금 4조9000억원의 공적재원 및 연간 3조 원 이상 공기업 투자를 유도해 재생지역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기존 도시재생은 국토부 소관의 국비만 지원했지만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국비 지원을 연평균 1500억원에서 8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지방비(연평균 5000억원)와 각 부처 사업을 연계해 연평균 7000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연평균 4조9천억원 규모의 주택도시기금 지원대상도 기존의 대규모 복합개발 사업 외에 소규모 주택정비, 상가 리모델링, 코워킹시설 등 수요자 중심 프로그램까지 확대하고, 연평균 3조원 규모의 공기업 투자도 유도하기로 했다.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 국토부 제1차관을 팀장으로 하는 범정부 협의체(TF)를 구성해 도시재생과 관련된 각 부처의 개별사업을 발굴하고 뉴딜사업으로 선정된 지역에 각 부처가 협업사업을 우선 반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14일 광역자치단체 대상 설명회를 시작으로 이달 말까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의견을 수렴한 후 오는 25일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선정계획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후 내달 23~25일 사업계획서를 접수하고, 11월 평가 및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통해 오는 12월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을 최종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도시재생 뉴딜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역 맞춤형 재생모델을 만들고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주민과 지자체가 지역별 대표적인 도시혁신 사업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