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공원 라운드테이블 1.0 포스터.이번 토론회는 지난 한 해 동안 정부부처 중심의 콘텐츠 논란을 겪으면서 기존의 전형적 국책사업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긴 호흡으로 국민과 함께 용산공원을 만들어간다’는 방침에 따라 새롭게 기획됐다. 역사·도시·예술·생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여덟 차례의 공개세미나로 구성된다.우선 오는 19일 오후 2시 전쟁기념관 이병형 홀에서 개최될 첫 번째 세미나의 주제는 ‘용산공원의 재발견’이다.김영민 서울시립대 교수의 진행으로 라운드테이블의 추진배경과 전체 구성을 살펴보고, 배성호 국토부 공원정책과장의 발제를 통해 그간 용산공원의 추진경과와 함께 기지 내 보존건축물의 활용을 둘러싸고 촉발된 논란과 앞으로의 이슈를 짚어본다. 이어 조경, 건축, 도시 분야의 비평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배정한 서울대 교수, 서현 한양대 교구, 정석 서울시립대 교수와 함께 현대 도시공원의 담론과 용산공원의 의미에 대한 심층 토의를 진행한다. 두 번째는 일반 시민들의 신청을 받아 진행하게 되는 용산기지 둘레길 체험 행사다.오는 27일 진행될 이번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메인포스트를 중심으로 용산기지의 경계부를 둘러보고 용산기지 전체를 조망하면서 이 땅에 새겨진 역사의 의미를 되새겨본다.이어 내달 23일에는 예술 분야, 7월 21일에는 운영 분야, 8월 25일에는 역사 분야, 9월 22일에는 도시 분야, 10월 20일에는 생태 분야, 11월 18일에는 청년의 눈으로 바라본 용산공원을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될 계획이다. 매 회차별 세미나 결과는 브리프 형태로 제작돼 발제자료와 함께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을 통해 대중에게 공유될 예정이다. 논의를 통해 도출된 주요 의견은 올해 말 재개될 공원조성계획 수립과정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