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고가 났다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철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2조 5000억여 원을 투입키로 했다.철도 안전 확보를 위한 자금은 방호울타리 설치, 지진감지시스템 확대 설치, 원격시설관리시스템 시범사업 추진 등에 사용된다.국토교통부는 올해 이같은 철도안전 분야 중점대책 내용을 담은 ‘2017년 철도안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7일 밝혔다.이번 시행계획에서는 올해 철도안전 목표를 대형사고(사망자 5명 이상) 0건, 지난해 대비 주요 철도사고(탈선·충돌 등 열차사고와 건널목 사고)를 20%, 철도사고 사망자는 6% 줄이는 것으로 정했다.올해는 지난해 계획보다 32.3%(6103억 원)가량 증가한 2조5038억 원이 철도안전 확보를 위해 투입된다. 철도안전 시행계획은 철도안전법에 따라 수립되는 ‘철도안전 종합계획’의 연차별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철도공단, 철도공사, 교통안전공단, 서울메트로, 철도기술연구원 등 국내 25개 철도 유관기관의 계획을 포함한다.이번 계획에 따르면, 국토부는 철도 안전시설을 보완하고 안전서비스 제공을 확대한다.올해 중 광역·도시철도 승강장 안전문 설치를 완료한다. 선로 무단통행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고가 잦은 곳에 선로변 방호울타리를 설치한다.철도 건널목 사고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가 건널목에 접근하면 길 안내기(내비게이션)를 통해 ‘일시정지’ 경고를 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교통약자에 대한 이동편의 제공을 위해 자동계단(에스컬레이터), 승강기 등을 확충하고 신설 철도역사에 대해 ‘장애물 없는 환경(Barrier Free)인증’을 추진한다.또한 지진,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에 안전한 철도를 만든다.최근 지진 발생 횟수가 늘어난 것에 대응해 고속철도는 2018년, 일반·도시철도는 2019년까지 시설물 내진보강을 완료한다. 올해는 고속철도에 설치돼 있는 지진감지시스템을 일반철도에도 확대 설치한다.기상 이변에 따른 집중호우, 낙석 등으로 인한 철도 피해 발생에 대비해 교량을 확장하고 옹벽을 설치하는 등 재해예방시설을 확충한다. 낙석 우려지점에 실시간 감시시스템도 확대한다.시설관리 과학화를 위해 시설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원격시설관리 시범사업도 올해부터 추진한다.탐지견을 도입해 지난해 8월부터 시행 중인 철도 보안 검색의 효과를 높이고, 지진·화재 등에 대비한 재난방송설비 설계에 착수한다.철도 안전의 근본적인 체질 강화에도 나선다.철도 시설 노후도가 높은 상황을 고려해 시설에 대한 상태 평가를 정기적으로 시행하도록 의무화한다. 국가 차원에서는 철도시설 관리 중장기계획을 올해 내 수립할 계획이다.노후 차량 정밀안전진단 강화를 통해 성능이 부족한 차량은 교체토록 한다. 차량 개조에 대한 기준·검사를 제도화해 안전성을 강화한다.열차 운행을 통제하는 관제사 자격증명제를 도입·시행해 전문성을 강화한다. 철도안전전문기술자 지정 범위를 안전관리 분야와 통신 분야까지 확대한다.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제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을 도입해 철도안전을 고도화하기 위해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도 연내 수립한다.국토교통부 남영우 철도안전정책과장은 “지난해 전라선 율촌역 탈선사고, 구의역 승강장 안전문 정비기사 사망사고가 잇달아 발생해 철도환경안전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컸다”며 “사고와 장애를 줄여 국민이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